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0

물가지수란? 물가가 오르고 내리는걸 어떻게 알까? 경제 뉴스나 신문을 보면 "이번 달 소비자 물가지수가 상승했습니다" 같은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그런데 물가지수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신 적 없으신가요? 오늘은 물가지수의 개념부터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까지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물가지수의 의미물가지수란 무엇일까요? 물가지수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쉽게 말해, 시장 전체에서 물건값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한눈에 보여주는 경제 지표입니다.우리가 일상에서 "요즘 물가가 많이 올랐네" 혹은 "생각보다 가격이 괜찮네" 하고 느끼는 그 변화를, 물가지수는 객관적인 숫자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물가지수가 필요한 이유물가지수는 왜 중요할까요? 사실 물가지수는 우리 경제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2025. 4. 27.
무디스(Moody's)란? 신용등급의 숨은 심판자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무디스가 한국 신용등급을 조정했다", "무디스가 기업 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같은 말, 종종 들으셨을 것입니다. 근데 무디스가 도대체 뭘 하는 곳일까요? 오늘은 경제 뉴스에 꼭 등장하는 **'무디스(Moody's)'**에 대해 쉽게 하나씩 알려드리겠습니다! 무디스란 무엇인가요? **무디스(Moody's)**는 미국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신용평가 회사입니다. 1909년에 설립되어 100년 넘게 국가, 기업, 금융상품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일을 해왔습니다. 한마디로, "이 나라나 기업이 돈을 잘 갚을 수 있을까?" "이 채권은 믿을 만한가?"를 전문적으로 분석하고 점수(등급)를 매기는 곳입니다. 무디스가 매긴 신용등급은 투자자들에게 아주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이 등급을 보고 돈을 빌.. 2025. 4. 26.
모기지대출, 내 집 마련의 시작점 '내 집 마련'이라는 말, 참 설렙니다. 하지만 요즘 집값을 보면 한숨부터 나옵니다. 현금으로 집을 사는 건 대부분 사람들에게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모기지대출! 오늘은 '모기지대출이 뭔지', '어떻게 활용하는지', '우리 삶에서 왜 중요한지'까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모기지대출이란?**모기지대출(Mortgage Loan)**은 부동산을 담보로 받는 대출입니다. 쉽게 말해,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것입니다. 보통 집을 살 때 필요한 돈이 부족하니까, 은행에서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그 빌린 돈으로 집을 사고, 나중에 천천히 원금과 이자를 갚아나가는 방식입니다. 모기지대출의 핵심은 "담보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그래서 은행은 '이 사람이 대출금을 잘 갚을 수 있을.. 2025. 4. 25.
경제금융용어 명목금리 뜻과 의미 경제 뉴스나 금융 기사를 보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명목금리'**입니다. "기준금리가 인상됐다", "대출금리가 올라갔다" 할 때 그 금리가 바로 명목금리인데요. 도대체 명목금리는 무엇이고, 우리가 관심 가져야 할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명목금리 뜻명목금리는 아주 쉽게 말해서, 겉으로 보이는 금리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연 3% 금리로 예금해 드립니다"라고 하면, 그 3%가 명목금리입니다.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은 금리입니다."어? 금리가 3%면 좋은 것 아닌가요?"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이 바로 **'실질금리'**입니다. 만약 물가가 5% 올랐다면, 내가 받은 3% 금리는 실제로는 손해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3% 이자는 받았지만, 5%만큼 물.. 2025. 4. 24.
경제용어 쉽게 배우기! 채권이란? 채권의 종류까지 한 번에 알아봐요 경제뉴스에서 "국채 금리가 상승했다"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 그런데 그 '채권'이라는 게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 또 왜 중요한지는 잘 모를 수도 있어요. 오늘은 채권이 뭔지, 그리고 채권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채권이란?채권은 돈을 빌려주고 나중에 이자와 함께 돌려받겠다는 약속의 종이입니다. 좀 더 쉽게 말하면, 정부나 기업이 돈이 필요할 때 사람들에게 빌리는 거예요. 그런데 그냥 빌릴 순 없으니 "몇 년 뒤에 이자까지 포함해서 꼭 갚을게요"라는 약속을 하죠. 이 약속 문서가 바로 채권입니다. 채권을 왜 살까요?채권을 사면 정해진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약속된 날짜(만기일)에 원금도 돌려받을 수 있어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하고 채권을 삽니다. 특히 국.. 2025. 4. 24.
경제금융용어 단리와 복리 경제용어 단리와 복리는 다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복리가 좋다고는 들어봤는데 과연 그 효과가 얼마나 좋은지, 단리와 복리 장점과 단점들에 대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설명드립니다.  


 단리와 복리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생깁니다. 1억을 3년간 연 5%이율로 넣었다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원금 : 1억이자율 : 연 5%기간 : 3년단리로 이자만 계산을 하면 1년 차에 1억*5%=500만원, 2년 차 1억*5%=500만 원, 3년 차 1억*5%=500만 원으로 총이자는 1500만 원입니다. 복리는 원금뿐 아니라 이미 발생한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같은 조건을 가지고 복리로 계산을 해 보겠습니다. 원금 : 1억이자율 : 연 5%기간 : 3년복리로 계산을 하면 .. 2025. 3. 4.
경제금융용어 매몰비용 뜻과 의미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계속 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경제 용어의 하나인 매몰비용은 알아두면 선택을 하는 데 있어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그럼, 매몰비용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우리에게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매몰비용이란 무엇인가?매몰비용은 이미 지출되어서 다시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합니다. 과거의 결정으로 발생한 비용입니다. 이게 현재와 미래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지만, 지금까지 쏟아부은 시간과 노력, 돈이 아까워서 잘못된 판단을 하고 실수를 저지르기도 합니다.   매몰비용의 실제 예시매몰비용은 일상 생활에서 얼마든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 예로 식당에 가서 음식을 시켰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맛이 없지만, 이미 음식 값을 지불을 했기 때문에 억지로 먹.. 2025. 1. 26.
경제금융용어 마이크로 크레디트 뜻과 의미 '마이크로 크레디트'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아마도 생소하신 분들이 많이 계실 거 같습니다.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부분들이 있어서 알아두시면 좋은 경제용어입니다. 최대한 쉽게 마이크로 크레디트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이크로 크레디트마이크로 크레디트란 직역하면 '작은 대출'이란 뜻으로 소액을 대출해 주는데 최소한의 이자와 담보 없이 대출을 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아니 이런 게 있었어?"라고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취지의 대출이 있습니다. 바로 미소금융인데요. 마이크로 크레디트부터 미소금융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마이크로 크레디트방글라데시 무하마드 유누스가 설립한 그라민 은행이 마이크로 크레디트를 가장 잘 설명해 줄수 있습니다. 빈민층을 조사하던 중 소액(우리나라 돈으로.. 2025. 1. 24.